🧾 기본 정보 비교
항목QYLDJEPI
운용사 | Global X | JPMorgan |
설정일 | 2013년 | 2020년 |
배당 빈도 | 월배당 | 월배당 |
최근 배당률 (연 환산 기준) | 약 11~12% | 약 7~9% |
운용 방식 | 커버드콜 (NASDAQ 100 기반) | 옵션 프리미엄 + 배당주 혼합 |
리스크 수준 | 고위험 (하락장에서 손실 큼) | 중위험 (방어적 구성) |
총 운용 자산 (AUM) | 약 70억 달러 이상 | 약 300억 달러 이상 |
🔍 1. QYLD – 고배당의 상징, 그러나 성장성은 낮다
**QYLD(Global X NASDAQ-100 Covered Call ETF)**는 나스닥 100지수에 기반해서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하는 ETF야.
✔️ 커버드콜 전략이란?
- 나스닥100 지수 ETF를 매수한 상태에서
- 해당 지수의 콜옵션을 매도해 옵션 프리미엄을 매월 수취
- 수익은 안정적이지만, 상승장에서의 수익은 제한됨
✅ 장점
- 매월 배당 수익률이 매우 높음 (연 10% 이상 가능)
- 정기적인 현금 흐름이 필요한 투자자에게 유리
- 퇴직자나 배당 수입에 의존하는 투자자에게 적합
⚠️ 단점
- 주가 상승 수익은 제한됨 → 성장형 투자자에겐 비효율적
- 하락장에선 원금 손실 가능성 큼
- 배당금도 자본 손실을 가릴 수는 없음
🔍 2. JEPI – 안정성과 분산을 갖춘 배당 ETF
**JEPI(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)**는 S&P 500 고배당주 중심의 포트폴리오에, 옵션 전략을 결합한 상품이야.
✔️ 운용 전략
- 배당주 및 저변동성 종목을 기반으로 구성
- 옵션 프리미엄 수취를 통한 월배당 수익 창출
- 포트폴리오가 보다 보수적이고 방어적인 성격
✅ 장점
- 변동성 낮음 + 안정적인 월배당
- 하락장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방어력
- 기관급 운용사의 퀄리티 (JPMorgan)
⚠️ 단점
- QYLD에 비해 배당률이 낮음 (7~9%)
- 옵션 전략 수익이 제한적인 경우도 있음
🧠 QYLD vs JEPI, 누구에게 더 맞을까?
투자자 유형추천 ETF이유
고배당 수익을 최우선 | QYLD | 배당률이 높고 매월 고정 수익 |
안정성과 분산 중시 | JEPI | 방어적인 포트폴리오와 낮은 변동성 |
주가 성장 기대 안함 | QYLD | 상승 잠재력보단 현금 흐름 우선 |
배당 + 자본 보존 병행 원함 | JEPI | 중장기적으로 자산 방어에 유리 |
📌 세금 및 한국 투자자 주의사항
- 해외 ETF 배당소득은 세전 기준이며, 미국 세금 15% 원천징수 발생
- 한국에서는 기타소득으로 종합과세 대상이 될 수 있음
- 연금저축/IRP 계좌로 편입하면 세금 이연 가능 (단, 일부 증권사만 해외 ETF 허용)
🔚 결론
QYLD와 JEPI는 모두 월배당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, 그 속을 들여다보면 전략, 수익구조, 리스크가 매우 달라.
QYLD는 고배당+고위험, JEPI는 중배당+저위험으로 정리할 수 있어.
👉 정기적인 현금 흐름이 필요하고, 성장보단 배당을 우선시하는 투자자라면 QYLD
👉 배당과 함께 자산 안정성도 추구한다면 JEPI가 더 적합해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