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🏦 ISA 계좌란? 기본 개념부터 정리!
essay0187
2025. 4. 28. 15:22
🏦 ISA 계좌란? 기본 개념부터 정리!
ISA(Individual Savings Account) =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
✔ 하나의 계좌 안에서 여러 금융상품(예금, 펀드, ETF 등)에 투자할 수 있음
✔ 수익에 대해 세금 혜택을 주는 특별한 통장
✅ 핵심 요약
- 연간 납입한도: 2,000만 원 (일반형), 4,000만 원 (청년형/서민형)
- 총 한도: 1억 원까지 가능
- 운용 가능 상품: 예금, 적금, RP, ETF, 리츠, 펀드 등
- 절세 혜택: 수익 중 400만 원(또는 800만 원)까지 비과세! 초과분은 9.9% 저율 과세
💬 한 줄 요약:
"ISA로 ETF 투자하면, 수익 나도 세금 거의 안 낸다!"
📊 왜 ISA + ETF 조합이 좋은가?
항목일반 계좌ISA 계좌
수익 발생 시 과세 | 배당소득세 15.4% | 400~800만 원까지 비과세, 초과분은 9.9% 과세 |
투자 가능한 상품 | ETF, 주식 등 | ETF, 펀드, 예금 등 다양한 상품 |
운용 편의성 | 별도 | 통합 관리 가능 |
👉 결론: ETF로 장기 투자하면서 수익이 쌓여도, 세금을 아낄 수 있다!
📈 ISA 계좌로 ETF 투자하는 실전 방법
- ISA 계좌 개설하기
- 은행, 증권사 앱에서 간단히 개설 가능
- 청년형/서민형 자격 확인 (추가 세제 혜택 가능)
- '신탁형' vs '일임형' 선택하기
- 신탁형: 투자자가 직접 상품 선택 (자율성 높음)
- 일임형: 증권사가 운용 (자동 운용, 수수료 추가 발생)
- ETF 상품 고르기
- 안정적 성장형: KODEX 200, TIGER 미국S&P500
- 배당 수익형: KODEX 배당성장, ARIRANG 고배당주
- 글로벌 분산형: TIGER MSCI월드리츠, KODEX 미국채10년선물
- 정기적 매수(적립식) 전략 사용
- 매월 일정 금액(예: 20만 원) 투자
- 변동성을 줄이고, 장기 복리 수익 노리기
- 장기 보유
- 최소 3~5년 투자 목표 설정
- 수익 실현은 만기 이후 (보통 3년 이상 유지 추천)
🧮 절세 효과 실제 계산 예시
✅ 월 50만 원씩 3년간 투자 (총 1,800만 원)
✅ 연평균 수익률 7% 가정
👉 3년 뒤 예상 수익: 약 2,200만 원 (400만 원 수익)
항목일반 계좌ISA 계좌
과세 대상 | 400만 원 전액 | 0원 (비과세 한도 내) |
실제 세금 | 약 61,600원 (15.4% 적용) | 0원 |
➡ 절세 효과: 6만 원 이상!
장기 투자하면 절세 금액이 수십, 수백만 원 커질 수도 있음.
🛑 주의할 점 5가지
- ISA는 중도 인출하면 혜택이 줄어들 수 있음
- 중도 해지 시 일부 과세 발생할 수 있어.
- 일반 ETF 외에 레버리지/인버스 ETF는 ISA 대상 아님
- KODEX 레버리지, 인버스 같은 건 불가!
- 만기 전 상품 교체 가능하지만 수수료 체크
- 환매 수수료, 운용보수 비교해야 손해를 피할 수 있음.
- ISA 계좌는 1인 1계좌만 가능
- 중복 개설 안 돼!
- ISA 만기 전 전략 조정도 가능
- 목표 수익률 달성하면 일부 인출, 포트폴리오 변경 가능
🛠 ETF 추천 리스트 (ISA용)
유형추천 ETF특징
국내 주식형 | KODEX 200, KODEX 코스닥150 | 국내 대표 지수 추종 |
해외 주식형 | TIGER 미국S&P500, TIGER 나스닥100 | 미국 대표 지수 추종 |
배당형 | KODEX 배당성장, TIGER 고배당 | 안정적 배당 수익 추구 |
채권형 | KODEX 미국채10년선물 | 변동성 완화용 채권 투자 |
🎯 요약 정리
- ISA 계좌 = 투자 수익에 세금 혜택 주는 절세 통장
- ETF 투자 = 장기 성장 + 배당 수익을 노리는 전략
- ISA + ETF 조합 = "수익률" + "절세 효과" 둘 다 잡을 수 있다
- 신탁형 ISA 추천: 직접 ETF 골라서 투자하기
- 장기 보유 필수: 최소 3년 이상, 이상적으론 5년+