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
🧾 기본 개념 요약

essay0187 2025. 5. 5. 11:02

🧾 기본 개념 요약

구분연금저축IRP (개인형 퇴직연금)
가입 대상 누구나 가능 근로자, 자영업자, 무직자 가능
세액공제 한도 연 400만 원까지 연 700만 원까지 (연금저축 포함)
수령 시점 만 55세 이후 만 55세 이후
운용 방법 예금, 펀드, ETF 등 예금, 펀드, ETF 등
퇴직금 수령 가능? 불가능 가능 (회사 퇴직금 이전 수령용)
중도 해지 가능하나 세제 혜택 환수 가능하나 세제 혜택 환수
 

🔔 IRP는 연금저축 포함 기준으로 연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가능
예: 연금저축에 400만 원 + IRP에 300만 원 → 총 700만 원 공제


💡 세액공제 혜택 정리

총 급여세액공제율세액공제 금액 (최대 700만 원 납입 시)
5,500만 원 이하 16.5% 최대 115.5만 원
초과 시 13.2% 최대 92.4만 원
 

세액공제 받은 금액만큼 실질 세금 감면 → 고소득자일수록 혜택 큼


📊 구조적 차이 요약

항목연금저축IRP
퇴직금 이체 불가 가능
연금 수령 방법 자유롭게 선택 가능 (연단위, 월단위 등) 동일
수수료 상대적으로 낮음 증권사에 따라 차이 있음
운용 유연성 ETF 등 다양함 ETF, 예금 등 가능하나 제한 있는 곳도 있음
수령 방식 연금 또는 일시금 연금 또는 일시금
 

🔁 연금저축 + IRP 조합 전략

✅ 절세 전략 (가장 많이 공제받기)

  1. 연금저축에 400만 원 납입
  2. IRP에 300만 원 납입
  3. → 총 700만 원 납입 → 최대 115.5만 원 세액공제 (16.5% 기준)

✅ 분산 운용 전략

계좌특징투자 방향
연금저축 수수료 적고 유연 공격적 포트폴리오 구성 (ETF, 펀드 위주)
IRP 퇴직금 이전 가능 안정적 자산 구성 (채권, 예금 포함)
 

🔐 연금 수령 시 과세 방식

  • 연금 수령 시 세율: 3.3% ~ 5.5% (수령 기간과 나이에 따라 차등)
  • 일시 인출 시: 기타소득세 16.5% 부과 (주의!)
나이연금소득세율 (5년 수령 기준)
만 55~70세 5.5%
만 71~80세 4.4%
만 81세 이상 3.3%
 

🧩 어떤 계좌부터 먼저 납입하는 게 좋을까?

  1. 연금저축부터 400만 원까지 채우자
    • 세액공제 한도가 명확하고 수수료가 적음
  2. 그다음 IRP에 300만 원 추가 납입
    • 퇴직금 이체 가능하고 예금 운용도 가능

📌 이렇게 활용해보자 – 실제 사례

40세 직장인 A씨

  • 총급여: 5천만 원
  • 세액공제율: 16.5%
  • 연금저축: 400만 원 납입
  • IRP: 300만 원 납입

👉 총 세액공제 = 115.5만 원 절세
👉 이 금액을 재투자하면 복리로 수익률 상승


❗ 주의사항

  • 중도 인출 시 세액공제 환수 + 기타소득세 발생
  • 의무 가입기간 5년, 만 55세까지 유지 필요
  • IRP는 일부 금융사에서 ETF 매매 제한 있을 수 있음 → 증권사 선택 중요

📚 요약 정리

항목핵심 포인트
연금저축 수수료 저렴, ETF 운용 자유
IRP 퇴직금 수령, 예금 가능, 700만 원까지 공제 가능
최적 조합 연금저축 400 + IRP 300 = 세액공제 극대화
수령 시기 만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 → 저율과세
전략 분산 투자 + 절세 → 노후 대비 완성